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뉴욕 여행 가서 제육정식 먹고 온 썰 푼다 : 창업자가 지금 바로 "해외 진출"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Easy

by enjoy-et 2024. 5. 29. 17:00

본문

2024년 5월 29일
[EASY] 세상을 향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포화된 국내 시장과 해외 진출에 대하여

 


<제주 카페 역대 최다 폐업 수>

여러분, 제주 카페가 지난해 역대 최다 폐업 수를 맞이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또한, 이미 올해 1분기에만 폐업을 신고한 제주 카페가 80곳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는 지난해 폐업 건수 3분의 1에 달하는 카페가 3개월 만에 사라진 셈이라고 하는데요. 왜 이런 일이 생기고 있는 것일까요?

(출처: 한국경제)


<국내 시장의 카페 포화 상태>

여러분의 한걸음 걸음마다 눈에 보이는 카페들이 달라질 정도로 카페가 많다는 것을 느끼지 않으셨나요?

조용히 혼자 작업하고 싶다면 스타벅스, 저렴한 커피를 마시고 싶다면 메가커피, 친구와 색다른 경험을 하고 싶다면, 개인이 운영하는 예쁜 카페를 찾는 등 카페의 선택지가 아주 많아진 것이죠.

소비자 입장에서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다는 분명한 장점이 있지만, 카페 사장님 입장에서는 어떨까요?

그들은 카페 포화 상태인 국내에서 치열하게 생존하며, 정말 힘든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그래서 et는 주목해보았습니다"

<미국의 K-카페 열풍>

여러분, 저스틴 비버가 매일 아침 혼자 차를 타고 들리는 곳이 바로 "한국식 카페"라는 사실을 아시나요?

또한, 미국에서는 이른 아침부터 한국식 커피를 사기 위해 줄을 서며, "모닝 커피 런"이라는 신조어까지 탄생했다고 하는데요. 미국에서 K-카페의 열풍, 주목해볼만 하지 않나요?

(3) 할리우드 스타도 줄 서는 미국 K-카페의 열풍 - YouTube

 

영상 속 처마가 보이는 한국스러운 집과 그 안에 커피를 내려주는 바리스타,

앉아서 노트북으로 업무를 보고 테이크아웃 하는 외국인들

해당 유튜브 영상에서 비춰지는 카페의 인테리어부터 바리스타까지, 썸네일에 미국이라고 쓰여있지 않았다면, 당연히 한국의 모습일 줄 알았을 정도로 한국과 매우 유사합니다.


 

<해외에서 반드시 발휘될 국내에서의 노하우>

해외에서의 한국식 카페 인테리어와 주변 환경은 깨끗하고 예뻐 유입을 이끄는 것과 동시에, 음료와 빵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가 아주 높다고 합니다. 지금의 미국 유명 카페들은 거의 한국인들이 운영하고 있을 만큼 한국 카페의 영향력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죠.

이는 카페 포화 시장 국내에서 살아남기 위해 쌓아 온 치열한 노하우가 해외에서는 신선함으로 다가와 소구되고 있는 것입니다.

 


<뉴욕 한복판에 등장한 기사식당>

한국에서 파는 제육볶음, 비빔밥 등의 메뉴를 그대로 옮긴 뉴욕 매장으로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고 합니다.

[이 시각 세계] 뉴욕 한복판에 등장한 한국 '기사식당' (2024.04.23/뉴스투데이/MBC) (youtube.com)

 

해당 기사식당 인테리어는 종로 3가 식당을 그대로 복제한 것이 특징인데요. 고소득자가 많은 뉴요커들을 타깃하여 4만 4천원의 높은 가격을 판매하고 있다고 합니다.

세계 각국의 사람들이 오가는 뉴욕에서의 식당은 정해진 인구 수를 상대로 하는 국내 사업에 비해 유입이 높을 것이며, 국내에서 익혔던 노하우가 결합된다면, 뉴욕 식당 운영에 아주 큰 시너지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웨이팅이 기본 2시간인 뉴욕의 K-마라탕 식당>

해당 마라탕집은 중국식 마라탕이 아닌 한국화 마라탕을 판매한다는 점에서 주목해볼만 한데요.

이처럼 한국인들은 해외 음식을 현지화(국산화)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예시로, 마카롱을 국산화하여 뚱카롱으로 변화시키고, 베이글을 국산화하여 런던 베이글과 같이 한국인들의 입맛에 맞게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며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는 데 탁월하죠.


<미국 마트에서의 한국 냉동김밥 품절 대란>

한국 냉동김밥은 미국의 비건들을 타깃해 마케팅하여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해당 김밥은 포장지에 KIMBAP을 그대로 표기했다는 점이 특징인데요.

출처: 시사IN

미국인들은 릴스, 유튜브에 서로 앞다퉈 경쟁하듯이 김밥을 먹어본 소감을 올리기 시작했고, 이것이 자연스럽게 바이럴되어 엄청난 성공을 거둔 것이죠.

 


<우리가 해외진출에 주목해야 할 이유입니다>

포화된 한국 시장에서 치열하게 생존하고 있는 이들이 해당 글을 읽고 새로운 길을 찾아 빛을 발하기를 바라며,

지금까지 "소비자에게 경험을, 브랜드에게 성장을 제공하는 et"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