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8월 9일
[INFO] 정보를 전달합니다: 트라이슈머 타깃 샘플 마케팅
안녕하세요. <소비자에게 경험을, 브랜드에게 성장을 제공하는 et> 입니다.
지난 주 et는 "온오프라인 경계 약화: 이를 넘나드는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온/오프라인 경계 약화 포인트 복습!>
오늘은 떠오르는 소비자 트렌드 "트라이슈머"에 대해 정의를 확립하고,
이들을 공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탐구해보고자 합니다.
오늘도 et와 함께, 한층 더 성장해보아요 :)
트라이슈머? 멀티호밍?
여러분, 트라이슈머에 대해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트라이슈머란 시도하다는 의미의 'Try'와 소비자라는 의미의 'Consumer'로 구성된 합성어로 체험의 가치를 중시하는 소비자를 의미합니다. 이들은 광고와 같은 브랜드가 제공하는 정보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제품을 사용해 본 뒤 구매를 결정하는 소비자들을 말하는데요,
이와 같은 개념이 부상한 배경으로는 낮아지는 브랜드 충성도로 인한 멀티호밍의 증가가 있습니다.
eMarketr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성인 58%의 브랜드 충성도가 낮아졌으며, 향후 20년 시장에 영향을 미치게 될 Z세대는 트렌드와 콘텐츠에 민감하고, 브랜드에 충성하지 않는다는 특성을 가집니다. 이에 소비자가 주로 이용하는 플랫폼을 바꾸거나 동시에 여러 플랫폼을 이용하는 현상을 뜻하는 멀티호밍을 실천하는 소비자들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죠.
소비자들의 브랜드 의존도가 낮아지며,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제품 및 브랜드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소비자 배경에 맞추어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기업들의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시크릿데이 "생리대 피팅룸"
소비자들은 구매 전, 최대한 많은 제품들을 직접 사용해보고, 나에게 맞는 제품을 발견한 이후 구매하기를 원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생각보다 많은 경우들 속에서 브랜드가 제공하는 일방적인 정보에 의존하여, 확신을 얻지 못한 채 제품을 구매해야 하죠.
이러한 니즈의 불충족을 해결해주며, 소비자에게 인지도와 선호도를 높인 기업이 있는데요, 바로 여성용품 브랜드 '시크릿데이'입니다.
출처: 테크월드뉴스
'시크릿데이'는 신제품 라인의 홍보를 위해 이색적인 팝업스토어를 개최하였습니다. 해당 공간에서 옷걸이에 생리대를 걸어 놓고, 피팅룸을 마련하여 마음껏 제품을 착용해볼 수 있도록 하였는데요,
생리대를 하나의 '옷'으로 재해석함으로써 화장품, 옷 등 구매 전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제품을 선택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특성을 고안하여, 생리대 업계 문화 변화의 선두주자가 되고자 한 것이죠.
이를 통해, 브랜드가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제품 정보를 통해 구매를 유도하는 것이 아닌, 직접적인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소비자와의 친밀도를 높이고, 그들의 체험 니즈를 충족해준 것입니다.
펫프렌즈 "맘마 샘플"
이처럼 특정 공간을 방문하지 않고도, 온라인을 통해 샘플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구매 전, 무료로 직접 체험해볼 수 있도록 하며 매출을 높이고 있는 기업이 있습니다. 바로, 반려동물 쇼핑몰 '펫프렌즈'인데요,
'펫프렌즈'는 사료샘플 서비스인 '맘마샘플'을 통해 반려동물의 사료나 간식 등을 구매하기 전 미리 소량의 제품을 테스트해볼 수 있는 샘플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출처: 매일경제
특히, 펫커머스 업계의 많은 기업들은 소비자들에게 샘플링을 제공해줄 수 있는 방안이 부족하여, 소비자와의 접점을 높이기 위해 애쓰고 있었는데요, 펫프렌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줌으로써 파트너사의 만족도 또한 높일 수 있었습니다.
동시에, 소비자들의 체험 니즈를 충족시켜 주며, 서비스의 고객 주문 수가 빠르게 증가하였고, 펫커머스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다지고 있는 것이죠.
샘플 마케팅
앞선 사례와 같이 샘플을 통해 트라이슈머를 유입한다면 어떨까요? 물론, 샘플 무료 제공을 통해 잠재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거나, 일시적인 홍보효과를 누릴 수는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브랜드는 샘플 제공 이후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반응을 확인할 수 있어야 장기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게 되는 것이죠.
를 알아내지 못한다면, 샘플 마케팅 속, 브랜드와 소비자 니즈 간의 간극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et는 이러한 점을 발견하며,샘플을 활용한 마케팅의 정답을 브랜드사에게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et와 함께한다면, 위와 같은 샘플 마케팅의 허점을 극복하고, 일시적인 매출 상승 효과 뿐 아니라 장기적인 소비자와의 소통까지 가능해지도록 하며, 트라이슈머 공략을 가장 효과적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됩니다.
지금까지 <소비자에게 경험을, 브랜드에게 성장을 제공하는 et> 였습니다.
오늘도 감사드립니다 :)
[INFO #4] 온/오프라인 경계가 허물어졌다고요? 오히려 좋습니다: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전략 (3) | 2024.07.31 |
---|---|
[INFO #3] "테크"를 붙이면 트렌드가 된다?: IT 업고 날개 다는 비법 알아보기 (6) | 2024.07.24 |
[INFO #2] 브랜드가 소비자와 가까워지는 법: 이색 마케팅 모아보기 (1) | 2024.07.17 |
[INFO #1] 팝업 대란 속, 우리 팝업을 어떻게 알릴 수 있을까요?: Z세대에게 선택 당하는 마케팅 전략 (0) | 2024.07.10 |
창업자가 기회를 잡는 방법: 고객의 목소리를 듣고, 사업의 본질을 파고들기 (0) | 2024.06.12 |